유진정의 기록
[머신러닝 수학의 바이블] 선형대수학 - 보충편 본문
1. 역행렬 계산 방법 상세
💡 역행렬은 가우스-조던 소거법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.
1.1 역행렬 계산 과정
확장행렬 만들기
[A|I] 형태의 확장행렬을 만듭니다.
예시:
[1 2 | 1 0]
[3 4 | 0 1]
가우스-조던 소거법 적용
- 행 기본 연산을 사용
- 왼쪽 행렬을 단위행렬로 만듦
- 오른쪽에 남는 행렬이 역행렬
⚠️ 왼쪽 행렬이 단위행렬이 되지 않으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!
1.2 2×2 행렬의 역행렬 공식
A=[ab cd]의 역행렬:
A−1=1ad−bc[d−b −ca]
단, ad−bc≠0 (행렬식이 0이 아닐 때)
2. 선형변환의 주요 예시 확장
2.1 반사(Reflection) 변환
💡 반사는 특정 직선이나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하는 변환입니다.
x축에 대한 반사
T([x,y]) = [x,-y]
변환행렬:
[1 0]
[0 -1]
y축에 대한 반사
T([x,y]) = [-x,y]
변환행렬:
[-1 0]
[0 1]
y=x 직선에 대한 반사
T([x,y]) = [y,x]
변환행렬:
[0 1]
[1 0]
2.2 투영(Projection) 변환
💡 투영은 벡터를 특정 부분공간으로 정사영시키는 변환입니다.
x축으로의 투영
T([x,y]) = [x,0]
변환행렬:
[1 0]
[0 0]
y축으로의 투영
T([x,y]) = [0,y]
변환행렬:
[0 0]
[0 1]
3. 고유값과 고유벡터
3.1 정의와 의미
💡 고유벡터는 선형변환 후에도 방향이 변하지 않는 벡터입니다.
수학적 정의
Av=λv 를 만족하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 v와 스칼라 λ
- v: 고유벡터
- λ: 고유값
특징
- 고유벡터는 선형변환의 '주축' 방향을 나타냄
- 고유값은 해당 방향으로의 '스케일' 변화를 나타냄
3.2 계산 방법
- 특성방정식 구성: det(A−λI)=0
- 고유값 계산
- 각 고유값에 대한 고유벡터 계산: (A−λI)v=0
예시
행렬 A=[21 12]의 경우:
특성방정식:
(2−λ)(2−λ)−1=0
λ2−4λ+3=0
λ=3 또는 λ=1고유벡터 계산:
λ=3일 때: v1=[1,1]
λ=1일 때: v2=[1,−1]
4. 선형대수학의 주요 응용
4.1 최소제곱법
💡 과다결정된 선형시스템의 근사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.
문제 형태
Ax=b 에서 해가 없는 경우, |Ax−b|를 최소화하는 x 찾기
해법
x=(ATA)−1ATb
4.2 주성분 분석(PCA)
💡 데이터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는 차원 축소 기법입니다.
과정
- 데이터 중심화
- 공분산 행렬 계산
- 고유값 분해
- 주성분 선택
'개인공부 > 기초 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thematical Definitions in Data Science (1) | 2025.01.09 |
---|---|
[용어] 아벨군(Abelian Group) (0) | 2025.01.03 |
[머신러닝 수학의 바이블] 선형대수학 Part 4 - 차원과 선형변환 (0) | 2025.01.03 |
[머신러닝 수학의 바이블] 선형대수학 Part 3 - 기저와 차원 (0) | 2025.01.03 |
[머신러닝 수학의 바이블] 선형대수학 Part 2 - 행렬과 선형방정식 (0) | 2025.0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