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진정의 기록
Scholar Inbox 소개 본문
요즘 학술 연구 분야에서는 하루에도 몇백 개의 논문이 쏟아져 나와 관심 분야에 대해 집중해서 공부하기가 정말 힘들어졌다. AI나 천문학 같은 분야는 특히 그 속도가 어마어마했다. 예를 들어 AI 분야만 해도 하루에 300편이 넘는 새로운 논문이 발표된다고 하니 말 다했다.
이런 상황에서 연구 동향을 따라가려면 정말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질 수밖에 없었는데, 그러던 중에 최근 'Scholar Inbox'라는 흥미로운 서비스를 발견했다.
Scholar Inbox는 논문을 추천해주는 플랫폼인데, 사용법이 꽤 간단했다. 관심 있는 저자 3명 이상과 좋아하는 논문 10개 이상만 골라주면 됐다. 그러면 마치 뉴스레터처럼 관련된 논문들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었다.
이 서비스의 특별한 점은 논문의 내용을 실제로 분석해서 추천해준다는 것이었다. 그냥 SNS에서 화제가 된 논문이 아니라, 내가 진짜 관심 있어 하는 주제와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줬다. 덕분에 소셜미디어에서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내 연구와 관련된 중요한 논문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.
독일 튀빙겐 대학교의 Andreas Geiger 교수팀이 개발한 이 서비스는 현재 무료로 제공되고 있었다. 연구자들이 최신 연구 동향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게 개발팀의 목표라고 한다.
만약 연구 분야의 최신 논문들을 효율적으로 찾아보고 싶다면, Scholar Inbox를 한번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? 정보의 홍수 속에서 나만의 맞춤형 연구 동향 파악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!
'잡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카오 뮤직 추천시스템 깃허브 구경하기 _ programming assignment (3) mini_reco (1) | 2025.01.19 |
---|---|
스트리밍 서비스 ReSys 간략한 분석 _ 유튜브 뮤직 (1) | 2025.01.19 |
스트리밍 서비스 메뚜기의 추천시스템 비교(주관적) (0) | 2025.01.19 |